Future foods: What you could be eating by 2050
과학자들은 2050년까지 메뉴에 오를 수 있는 잘 알려지지 않은 식물들의 목록을 작성했습니다.
미래에는 가짜 바나나로 아침을 먹거나 판다누스 나무 열매로 간식을 먹을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전 세계적으로 거래되는 소수의 작물에 의존하는 것의 위험성을 강조했습니다.
칼로리의 90%가 단지 15개의 작물에서 나오는 가운데, 런던 큐에 있는 왕립 식물원의 전문가들은 우리의 식단을 미래에 증명할 재료를 찾고 있습니다.
Scientists have drawn up a list of little-known plants that could be on the menu by 2050.
In the future, you could be breakfasting on false banana or snacking on pandanus tree fruit.
The Ukraine war has highlighted the dangers of relying on a few globally-traded crops.
With 90% of calories coming from just 15 crops, experts at the Royal Botanic Gardens in Kew, London are hunting for ingredients to future-proof our diets.
기후 변화로 전 세계적으로 농작물이 망하고 주식 가격이 빠르게 오르는 심각한 '식량 충격'의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큐 연구원인 샘 피리논 박사는 우리가 먹는 음식을 다양화하는 것은 기아를 완화하고, 생물 다양성 손실을 해결하며,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해결책 중 하나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수 천 종의 식용 식물들이 서로 다른 개체군에 의해 소비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여기서 우리는 미래의 이러한 세계적인 도전 과제들에 대한 해결책들 중 일부를 찾을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7,000개 이상의 식용 식물 중 417개만이 널리 재배되어 식용으로 사용됩니다.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the risk of severe 'food shocks' where crops fail and prices of staples rise rapidly around the world.
Diversifying the food we eat is one of the solutions to alleviating hunger, addressing biodiversity loss, and helping to adapt to climate change, says Kew researcher, Dr Sam Pirinon.
"We know that there are thousands of edible plant species across the world that are consumed by different populations and this is where we can find some of the solutions for these global challenges of the future," he says.
Of more than 7,000 edible plants worldwide, only 417 are widely grown and used for food.
판다누스
판다누스(Pandanus tectorius)는 태평양 제도에서 필리핀에 이르는 해안 지역에서 자라는 작은 나무입니다. 파인애플 같은 과일은 날것으로 먹거나 요리할 수 있는 반면, 이 잎들은 동남아시아의 많은 지역에 걸쳐 달콤하고 고소한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The pandanus
The pandanus (Pandanus tectorius) is a small tree that grows in coastal areas from the Pacific Islands to the Philippines. The leaves are used to flavour sweet and savoury dishes across much of Southeast Asia, while the pineapple-like fruit can be eaten raw or cooked.
큐의 연구원인 메리벨 소토 고메즈 박사는 이 나무가 가뭄, 강풍, 소금물 분사 등 어려운 조건을 견딜 수 있다고 말합니다.
"기후에 회복력이 있고 영양가가 높은 음식으로 맛도 좋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합니다.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영양가가 높으며 전 세계의 어려운 환경에서 재배할 수 있는 음식을 포함하도록 식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녀는 판다누스가 지역 주민들을 위한 자원을 고갈시키지 않고 지속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더 널리 키워야 한다고 말합니다.
The tree can tolerate challenging conditions, including drought, strong winds and salt spray, says research fellow at Kew, Dr Marybel Soto Gomez.
"It is a climate resilient and nutritious food that is also delicious," she says. "It would be great to diversify our food portfolio to include food that is culturally appropriate, nutritious, and can be grown in challenging conditions all around the world."
If the pandanus can be used sustainably, without depleting resources for local people, we should be growing it more widely, she says.
콩류
콩, 혹은 콩류는 또 다른 '미래의 음식'입니다. 값이 싸고, 단백질과 B-비타민 함량이 높으며, 해양에서 산비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 적응되어 있습니다.
세계에는 2만 종의 콩과 식물이 있지만, 우리는 아주 적은 수의 콩과 식물만을 사용합니다. 과학자들에게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야생에는 수백 종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Beans
Beans, or legumes, are another ''food of the future". They are cheap, high in proteins and B-vitamins, and they are adapted to a wide range of environments from ocean shores to mountain slopes.
There are 20,000 species of legumes in the world, but we use only a handful. It's thought there are hundreds in the wild as yet unknown to scientists.
모라마 콩(Tylosema esculentum)은 보츠와나, 나미비아, 남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의 주식으로, 콩을 옥수수와 함께 끓이거나 가루로 갈아서 죽이나 코코아와 같은 음료를 만듭니다.
모든 콩과 식물이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들은 어떤 콩과 식물이 음식과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른 종의 특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The morama bean (Tylosema esculentum) is a staple in parts of Botswana, Namibia and South Africa, where the beans are boiled with maize or ground to a powder to make porridge or a cocoa-like drink.
Not all legumes are edible, but experts are exploring the properties of different species to see which ones might provide food and nutrients.
산곡류
풀에서 나오는 곡물 또한 1만 종 이상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음식에 대한 많은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포니오(Digitaria exilis)는 쿠스쿠스, 죽,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영양가 있는 아프리카 시리얼입니다. 현지에서 작물로 재배되어 건조한 상태를 견딜 수 있습니다.
Wild cereals
Cereals, which come from grasses, also have huge diversity, with more than 10,000 species - offering lots of potential for new foods.
Fonio (Digitaria exilis) is a nutritious African cereal used to make couscous, porridge and drinks. Cultivated locally as a crop, the plant can tolerate dry conditions.
가짜바나나
엔셋 또는 "거짓 바나나"는 바나나의 가까운 친척이지만 에티오피아의 한 지역에서만 소비됩니다.
식물의 바나나 같은 열매는 먹을 수 없지만, 전분질인 줄기와 뿌리를 발효시켜 죽과 빵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바나나와 같은 작물은 온난화된 세계에서 1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먹이를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False banana
Enset or "false banana" is a close relative of the banana, but is consumed only in one part of Ethiopia.
The banana-like fruit of the plant is inedible, but the starchy stems and roots can be fermented and used to make porridge and bread.
Studies suggest the banana-like crop has the potential to feed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in a warming world.